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4℃
  • 구름많음강릉 22.8℃
  • 맑음서울 18.8℃
  • 구름많음대전 22.6℃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2.8℃
  • 구름조금광주 22.7℃
  • 구름조금부산 18.2℃
  • 구름조금고창 18.9℃
  • 구름조금제주 19.2℃
  • 맑음강화 14.5℃
  • 구름조금보은 20.7℃
  • 구름많음금산 22.3℃
  • 구름조금강진군 22.6℃
  • 구름많음경주시 25.3℃
  • 구름조금거제 19.5℃
기상청 제공

경제

'美관세대응' 보폭 넓히는 관세당국…전국세관 특조단 전면배치

무역안보특조단, '한국산 둔갑' 中제품 차단…위험점검단·기업지원단도 가동


(세종=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폭탄 여파로 인한 국산 둔갑 우회수출 차단을 위해 관세청이 본격 대응에 나섰다.

22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관세청은 최근 미국의 국가별 관세율 차이를 악용한 우회 수출 차단을 위해 무역안보특별조사단을 발족해 운영 중이다.

무역안보특별조사단은 관세청 본청에 설치됐다. 개별 수사는 전국 본부세관에 설치된 10개 수사팀이 전담한다. 

구체적으로 서울세관에 4개, 인천공항·인천·부산세관에 각각 2개 수사팀이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

중국 등 제3국 물품을 국산으로 위장해 수출하는 우회 수출은 새로운 현상은 아니다. 

다만 과거에는 한국 제품의 긍정적 이미지를 노린 경우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미국의 상호관세와 수입 규제를 피하기 위한 우회수출이 늘고 있다는 것이 관세청의 설명이다.

올해 3월까지 대미 우회수출 적발액은 285억원으로 작년 한 해 적발액(217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특히 미국과 관세 전쟁으로 높은 관세가 부과된 중국 수출품의 국산 둔갑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의 대중 누적 관세율은 145%에 달한다.

A사는 해킹 논란으로 미국에서 수입·사용이 제한된 중국산 폐쇄회로(CC)TV 카메라 등을 국산으로 둔갑시켜 미국으로 수출했다가 지난 3월 세관에 덜미를 잡혔다.

A사는 중국산 CCTV 카메라를 부분품 상태로 수입해 이를 국내에서 조립한 뒤 원산지를 국산으로 표시해 수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중국인은 우리나라에 회사를 세워 중국산 이차전지 양극재를 수입한 뒤 이를 국산으로 속여 미국으로 불법 수출했다.

B씨는 지난 3월 중국산 알루미늄 창호 20억원어치를 수입해 원산지를 한국으로 속여 미국으로 수출했다가 세관에 적발됐다.

A씨는 조사 과정에서 미·중 무역 갈등과 한국 제품의 품질 인지도를 고려해 무역 서류에 원산지를 한국으로 허위로 기재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중국산 양극재의 포장만 국산인 것처럼 바꾸거나 국산 양극재와 혼합한 뒤 국산으로 표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세청은 우회 수출 차단을 위해 국내외 정부 기관과 수사를 공조할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 21일 서울본부세관에서 개최된 '국내산업 보호를 위한 우회수출 단속 민·관 합동회의'에는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과 관세국경보호청(CBP)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국산둔갑 우회 수출을 신고(☎125)하면 최대 4천500만원의 포상금을 받을 수 있다고 관세청은 설명했다.

무역안보특별조사단은 우회수출 외에도 불확실성이 커진 통상환경을 악용해 무역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에 대한 수사와 단속을 총괄하고 있다. 원산지 세탁, 전략물자·핵심기술 유출 등이 주 조사 대상이다.
무역안보특별조사단은 지난 달 관세청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대응을 위해 출범한 특별대응본부에 속한다.

특별대응본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무역안보특별조사단 외에 위험점검단, 기업지원단으로 구성됐다.

관세청 관계자는 "한국보다 세율이 높은 다른 국가의 물품이 한국을 경유하면서 국산으로 둔갑해 수출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가 신뢰도 하락과 국내산업 피해가 우려된다"라며 "우리나라 수출기업과 산업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하고 단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국

더보기
충북도, 도시 속 힐링공간 '도시숲' 조성 본격 추진 【국제일보】 충북도는 24일 도심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충하고,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도시 생활권 내 도시숲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미세먼지 저감, 도시열섬 완화는 물론 도민들에게 휴식 및 여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생활권도시숲 ▲기후대응도시숲 ▲도시바람길숲 ▲생활밀착형숲 ▲녹색자금지원 ▲무궁화동산 등 총 6개 사업에 268억 원이 투입된다. 생활권도시숲은 도시, 생활권 주변지역에 휴양·정서함양 및 쾌적한 생활환경, 아름다운 경관 등을 위해 조성·관리하는 숲이다.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생태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학교숲 및 아름다운 가로경관 창출과 특색있는 가로숲길 조성 등 4개 사업에 12억을 투입한다. 기후대응도시숲은 폭염과 도시열섬현상 완화, 탄소흡수 및 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변화 대응하기 위해 도시 생활권 주변 지역에 조성하는 대규모 숲으로, 청주 2개소, 영동, 진천 각 1개소 등 4개소에 45억 원을 들여 조성한다. 도시바람길숲은 도시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조성하는 숲이다. 청주시, 충주시, 진천음성 혁신도시 일원에 조성하게 되며 충주시는 3단계 사업으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