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14.6℃
  • 맑음강릉 14.5℃
  • 구름많음서울 15.6℃
  • 구름많음대전 16.1℃
  • 구름많음대구 15.9℃
  • 구름조금울산 10.7℃
  • 구름많음광주 16.2℃
  • 구름조금부산 12.6℃
  • 구름많음고창 10.7℃
  • 구름많음제주 14.4℃
  • 구름많음강화 10.3℃
  • 구름많음보은 14.6℃
  • 구름많음금산 14.8℃
  • 구름많음강진군 13.0℃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조금거제 12.7℃
기상청 제공

국제

'철강생산 2위' 인도, 美관세 인상에 "생산확대 정책 차질 우려"

"수입품 몰려와 인도 업체 점유율 하락 우려…투자계획 못 내놔"



(자카르타=연합뉴스)  미국이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도 철강 업계가 타격을 맞고 인도 정부의 생산량 확대 정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인도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KPMG 인디아의 금속·광업 담당자인 아밋 바르가바는 "인도의 철강 수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관세 전쟁으로 수입 제품들이 가격을 낮춰가며 들어오게 생겼다"며 "인도 내 철강 가격이 하락하고, 정부의 철강 생산 능력 확대 정책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철강 산업은 인도의 중요 산업 중 하나로 꼽힌다. 

인도를 전 세계 주요 생산 기지로 만들겠다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인해 철강 소비량이 매년 10% 이상 늘어나는 등 수요가 폭발했다.

인도 정부는 2017년 갈수록 늘어나는 철강 수요를 맞추고, 철강 순수출국으로 전환하겠다며 2030년까지 철강 생산량을 3억t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의 '국가 철강 정책'을 세웠다. 

이 덕분에 현재 인도의 철강 생산량은 연 1억8천만t에 달하며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철강 생산국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워낙에 국내 철강 수요가 많다 보니 수입 역시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다. 2024∼2025년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인도의 철강 수입 규모는 1천만t으로 추정되며 중국과 한국, 일본산 철강 제품이 전체 수입량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철강 제품 관세율을 25%로 일괄 올리면 수출처를 찾지 못 한 중국과 일본, 한국산 철강 제품이 가격을 낮춰가며 인도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인도산 철강 제품도 가격을 내릴 수밖에 없어 철강 산업이 위축될 수 있으며 국가 철강 정책 역시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인도 철강 업계는 정부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향후 5년간 1천200억 달러(약 174조3천억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인도 신용평가사 ICRA의 리타브라타 고시 부사장은 "많은 철강 회사가 수입 증가로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새로운 투자 계획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기존에 세웠던 투자 계획도 재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더보기

피플

더보기
외교부, 흑백요리사 셰프·박세리 등 문화외교자문위원 위촉 (서울=연합뉴스) 외교부는 17일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에 출연해 더 유명해진 조셉 리저우드 셰프와 '골프 전설' 박세리 등을 제7기 외교부 문화외교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이날 위촉된 7기 자문위원으로는 조셉 리저우드 레스토랑 '에빗' 오너셰프와 박세리 바즈인터내셔널 대표, 금융인이자 방송인으로 한옥 등 한국 문화를 알려온 마크 테토 TCK인베스트먼트 공동 대표이사 등이 포함됐다. 또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폭포를 디지털로 구현해 화제가 된 디지털 디자인 업체 '디스트릭트'의 이성호 대표, 음악을 통한 재능 기부 활동을 해온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장, 김장언 서울시미술관협의회 이사, 신춘수 오디컴퍼니대표, 안미희 전 경기미술관장, 양정웅 극단 여행자 대표, 인재진 자라섬청소년재즈센터 이사장, 최영인 SBS 스튜디오 프리즘 예능부문대표 등도 자문위원이 됐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위촉식에서 한국의 국격을 높이고 긍정적인 국가 브랜드를 확산하기 위해 공공문화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교부의 다양한 문화외교 활동에 있어 자문위원들의 전문적인 조언과 기여에 기대를 표명했다. 외교부는 창의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