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30 (목)

  • 맑음동두천 -6.7℃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5.2℃
  • 대전 -2.0℃
  • 맑음대구 1.6℃
  • 구름많음울산 2.6℃
  • 흐림광주 3.4℃
  • 흐림부산 5.3℃
  • 흐림고창 2.6℃
  • 흐림제주 8.6℃
  • 맑음강화 -5.4℃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1.0℃
  • -강진군 4.0℃
  • 구름조금경주시 1.4℃
  • 구름많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김별의 문학산책

【김별의 문학산책】 후회의 진심 / 김별

생각해보니 오랜 시간이었다.
난생처음으로 부득이하게 독립을 하게 돼 지낸 세월이.
이제 와서 다시 동생이랑 살면서 처음 듣게 되는 얘기들이 있다.
원래부터도 몸이 약한 사람이었지만,
그래서 어릴 적부터 우리 집엔 항상 가사도우미가
상주했던 시절도 있었고,
세월이 흐르면서 출퇴근 하시는 도우미로 오시게 되기도 하였다.
난 이런 상황에 익숙해져
나 스스로 안도감을 만들고 방치시켰다.
철이 없었던 나이였지,라고 하면서.
너무 어리석었다.
내가 나가서 사는 동안 병환이 더 깊어진 것도 모르고,
아니, 모른체했겠지!
그렇게 나가서 산지 7년 만에 엄마는 가셨다.


병원 들어가시기 일주일 전에 안부차 전화를 했다.
목소리가 안 좋았다.
〃어디 아파?〃하고 물었다.
〃아니, 그런데 내가 오래 못 살 거 같아..〃하고
엄마가 내게 말했다.
난 〃무슨 이상한 소리를 해?〃라고 했다.
그리고, 일주일 후에 병원에 들어가셨고,
거짓말처럼 두 달 만에 떠나셨다.
그 해 가을에.


숨이 끊어지는 순간까지 함께 했다.
그 장면은 외상 후 스트레스처럼
나에게 트라우마로 남았다.
죄책감과 함께.


오늘 동생이랑 아빠 저녁상을 차리다가
옛날 얘기가 나왔다.


〃언니! 아빠가 미역국을 싫어하는 이유가,
엄마랑 아빠랑 둘이 살 때 엄마가 아파서 아무것도 못할 때
아빠가 자주 가시던 반찬가게에서
매일 미역국만 사서 드셔서 지겨워지신 거래.〃
사실, 오늘 점심때 내가 끓여 논 미역국을 건더기만 남기시고
국물만 드시길래,
내가 아빠에게 짜증을 냈다.


마음 어딘가에서 뭉클한 분노가 울컥하며
치밀어 올랐다.
나에게 또 화가 난 것이었다.


넌, 가족의 진심을 어디까지 헤아리고 있었던 거니?


김별 | 글 쓰는 연주자




전국

더보기
인천시교육청, 모두를 위한 수학 역량 강화 워크숍 성료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지난 23일부터 26일까지 초·중·고등학교 수학교사, 교육전문직원 50명을 대상으로 '모두를 위한 수학 역량강화 워크숍(수학있는 수학여행)'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수학있는 수학여행'은 '수학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수학의 힘으로 현재를 걷다, 유연한 창의와 무한한 상상으로 미래를 쓰다'를 캐치프레이즈로 기획한 '있다?없다! 수학여행시리즈' 2탄이다. 이번 워크숍은 ▲경남수학문화관 견학 ▲통영 Math-Tour 체험 ▲부산수학문화관 견학 ▲부산시민공원 Math-Tour 체험 ▲오륙도 둘러보기 순으로 운영했다. 워크숍에 참여한 만수여중 교사는 "새로운 것을 처음부터 만드는 것보다, 기존 교구에서도 수학적 원리를 어떻게 발견하게 할지 접근 방식에 따라서도 다양한 교구로 발전할 수 있음을 알게 됐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학생들에게도 이런 느낌을 전해줄 수 있는 수학 수업을 고민해 봐야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디지털전환시대, 즐겁게 배우고 깊이 있게 생각하는 수학, 모두를 위한 수학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참여가 중요하다"며 "'있다?없다! 수학여행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여러

피플

더보기
‘순국선열의 날’ 양일석·최인규 선생 등 67명 독립유공자 포상 국가보훈부는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양일석 선생(애족장), 민병구 선생(건국포장), 최인규 선생(애족장) 등 6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양일석 선생은 1921년 11월 전남 목포에서 사립 영흥학교 재학 중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비 축소 관련 ‘워싱턴 회의’가 열리자 한국 독립 문제의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체포돼 징역 10월을 선고받았다. 법정에서 ‘독립운동은 평소 소신’이라고 당당히 밝혀 한인 청년의 넘치는 기개와 독립운동에 대한 변함없는 확신을 보여줬다. 민병구 선생은 1933년 부산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조선총독부의 민족 차별적 학교 교육에 반대하는 동맹휴교에 참여하다 무기정학을 받았다. 또 1939년 일본 야마구치 고등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여우회’ 활동으로 체포되는 등 식민지 하의 억압적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학생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최인규 선생은 1940년 강원 삼척군에서 천곡교회 권사로 재직 중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체포돼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중 순국했다. 보훈부는 일제 말기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