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와 무게로 표시되는 현대 도시 생활에서 느림과 비움의 기회를 만들어 짓눌림으로부터 잠시나마 벗어난다는 것은 분명 삶에 신선한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의 혼잡을 뒤로하고 자연을 찾는 가족과의 여행은 행복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짐칸은 무엇인가로 가득 채워져 있다. 아마 야외에 나가 온 가족이 둘러앉아 즐길 먹거리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신선한 채소에 매콤한 불고기를 얹어 한 쌈씩 나누는 기대감으로 짐이 점점 많아졌을지도 모른다.
먹는 즐거움은 내려놓기 힘들다. 그러나 맛있게 먹기 위해 준비해야 할 음식 재료와 도구들이 적지 않고, 끓이고 굽는 노력과 시간 역시 무시할 수 없다. 결국 느긋한 휴식보다 장소만 바꾼 분주함으로 음식 대신 피로만 담아 오는 귀로가 될지도 모른다. 물론 가족들의 상황에 따라 여행의 형태도 다를 것이다. 그러나 떠남은 평소와 다른 삶을 경험하기 위함이다. 일에서 휴식으로, 분주함에서 한가함으로, 배움에서 관찰로, 남을 보기보다 나와 우리를 보기 위한 떠남이 돼야 한다.
모처럼의 휴식은 단순히 하던 일을 중지하는 것이 아니라, 서류와 공부에 지친 사람은 땀흘려보는 기회로, 육체적 피로를 가진 사람은 그늘에서 쉬며 독서나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는 시간이어야 한다. 음식 준비로 시간을 보내기보다 방문 지역의 환경과 특산물을 경험하며 그 고장의 먹거리로 시간과 노고를 아낄 수 있을 것이다. 먹고 마시고 노는 것보다 보고 듣고 느끼는 시간을 더 늘려야 한다.
시냇물 흐르는 소리, 나뭇잎 바람에 부딪히는 소리, 달빛 속에 풀벌레 소리, 저 멀리 펼쳐진 논과 들을 은빛으로 갈라놓는 강물, 꽃의 수줍은 미소, 나비들의 군무, 속삭일 듯 다가온 밤하늘의 별들….
미풍에도 흔들리는 버들은 그래도 강풍을 견디고, 바위를 껴안고 자랄 수밖에 없었던 노송에게서 인내와 위엄을 보며, 바닷가 몽돌로부터 마멸의 태도를 생각한다. 세상의 모든 것들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이런 무심했던 것들로부터 출발한 여행은 아마도 그 끝에서 낯선 자신과의 만남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세상은 빠르게 변한다. 기차의 속도를 느끼려면 기차 밖에 나와 있어야 안다. 유능한 포수가 짐승을 잡기위해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고 길목을 정하듯이 세상의 속도와 나의 위치를 가늠해 봐야 내가 설 곳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삶속에서 자신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될까. 목적지도 길도 알지 못한 채 그저 숨 가쁘게 달려가는 것은 아닌지. 모든 것을 저당하여 얻은 분주함은 과연 우리에게 무었을 주고 있는가.
휴가가 필요하다. 휴가는 휴식을 만들고, 휴식은 사색을 깃들게 하고, 사색은 자신을 볼 수 있는 통찰의 안목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어디로 가서 무었을 먹고 어떻게 놀았는가보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방향을 가늠해보는 휴가여야 한다.
우리는 지난 일을 되돌아보면서 잘한 것은 접어두고 잘못한 것은 반성하고 속죄하고 미안해하는 참된 마음, 즉 초심(初心)으로 돌아가서 참된 나를 찾는데 마음을 써야 한다.
사람은 간사한 기회주의자이다. 조금 더우면 더워 죽는다, 조금 추우면 추워 죽는다, 배가 부르면 배불러 죽는다. 등등 노다지 죽는다고 한다. 그런데도 정작 따지고 보면 죽은 사람은 별로 없는데 식물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폭염, 한파가 몰아쳐도 아무 말 없이 견디다가 때가 되면 잎을 피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짐승 또한 자기 부모로부터 부여받은 몸, 피부, 옷을 더우나 추우나 그대로 유지하다가 삶을 마감한다. 인간이 동물과 자연에서 배워야 할 부분이 너무 많고 부끄러워해야 할 부분도 많다.
사람이 初心으로 살면 우리네 삶은 밝고 아름답고 명랑하고 신바람 나는 삶이 될 것이다. 남으로부터 받는 것보다 주면서 사는 아름다운 마음, 즉 초심(初心)으로 돌아가 살면 즐거운 삶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인간관계는 밑지는 장사가 남는 장사이다.
김병연 / 시인 ·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