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대학(大學)이 사는 길 / 김병연


예전에는 대학 졸업 시즌이 되면 꼭 보도되는 기사가 있었다. 대학 수석 졸업자와 수석 졸업자가 받은 졸업 학점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수석(首席) 졸업자가 받은 대단한 대학 졸업 학점(學點)에 경이(驚異)를 표하곤 했었다.
 
그런데 요즘은 이러한 기사를 만나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보도되더라도 특별한 이야깃거리가 되지 못한다. 전 학년 A⁺를 받은 학생을 만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신문 보도에 따르면 H대학은 75%의 학생이, S대학은 61%의 학생이 A학점을 받았다. 셋 중 둘은 A학점을 받은 것이다. 이런 지경이면 A학점을 받지 못한 학생이 오히려 이상하다. 이러니 수석 졸업자의 성적(成績)이 무슨 뉴스거리가 되겠는가.
 
필자는 학점이 부풀려진 원인으로 대학의 양적 팽창과 그릇된 제자 사랑을 지적하고 싶다. 현재 대학(大學) 진학자는 고등학교 졸업자의 70%(한때는 84%) 정도이고 원하는 일자리는 이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다. 1980년대를 지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속도는 그 전에 비해 둔화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대학은 엄청난 양적 성장을 했다. 이제는 국내에서 신입생을 수급하기 힘들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대학입학정원을 강제(強制)로 감축(減縮)해야 될 지경에 이르렀다.
 
구조적으로 구직자가 일자리보다 크게 많아졌다. 이런 취업 환경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대학들이 성적을 남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되고 보니 학점이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취업지원자의 성적은 이제 지원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지 못한지 오래다. 인기 있는 기업에는 A학점을 받은 지원자들이 넘쳐 난다. 이러니 인사 담당자들이 어찌 성적을 평가 대상으로 하겠는가. 이런 현상은 학점의 불신을 넘어 대학 교육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언제부턴가 대학의 학점 대신 다른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여기에 합당한 결과물을 지원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 주는 영어 학점 대신 토플 성적이나 토익 성적을 요구하고, 그것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어학연수를, 그것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이제 직접 영어 면접을 실시하고 있다. 또 직무 능력을 믿을 수 없어 대학 외부에서 실시하는 공모전(公募展) 입상 성적을 요구하거나 인턴이나 연수 실적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피해를 보는 측은 학생들이다. 대학에서는 우수한 학점을 받으려고 경쟁해야 하고, 흔히 말하는 취업 스펙(spec)을 쌓으려고 발버둥을 쳐야 한다. 시간과 경제적 희생이 너무도 크다. 대학 등록금(登錄金)만 해도 만만치가 않은데 해외 연수도 다녀와야 하고 취업 스펙을 쌓기 위해 학원(學院)도 다녀야 한다.
 
이 시대의 학생들은 우리 역사상 가장 우수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인 데도 불구하고 가장 큰 희생을 치르고 있다. 커다란 사회적 낭비이다.
 
모든 구직자(求職者)가 영어를 잘할 필요도 없고 공모전(公募展)에서 우승할 만한 능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우리 사회 대부분의 일자리가 그런 대단한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많은 일자리에서는 영어(英語)가 필요 없다. 그리고 일상적인 단순 업무가 대부분이다. 그러니 사회적으로 엄청난 낭비(浪費)를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이 먼저 달라져야 한다. 기업에서는 대학생들의 과도한 능력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바라지도 않았는데 보너스로 대단한 능력을 키워오는데 누가 마다하겠는가. 기업으로서는 어찌 보면 횡재인 셈이다. 대학 학점(學點)만으로도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
 
대학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제대로 평가하려면 학생 평가방식을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바꾸되, 학점별 강제분포비율을 적용해야 한다. 이를 법률이나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대학마다 학점별 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학점의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 학점에 대한 장기적 불신은 대학의 불신으로 이어지고 대학 붕괴라는 비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제는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대학(大學)은 제대로 가르치고 제대로 평가(評價)해야 한다. 그것이 대학이 사는 길이다.


김병연 |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대구시,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 본격 가동' 【국제일보】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5월 12일(월)부터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을 운영한다. 디지털배움터는 상설배움터 2개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체험존, 수요기관 파견교육, 에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설배움터와 체험존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제공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평일 상시 운영되며, 방문객에게 디지털 교육과 문제상담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기관 파견교육은 경로당, 복지관, 마을회관 등 170여 곳의 주민 생활시설과 연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용 기자재를 탑재한 이동형 교육차량(에듀버스)을 운행해 도심 외곽 취약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스마트폰 기초, 키오스크, 온라인 쇼핑, 대중교통 앱 활용 등 기본과정부터 생성형 AI, 금융 보안사고 예방 등 심화 과정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대구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연간 약 16,000여 명의 시민이 디지털 교육 혜택을 받을 것으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