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획 · 특집

윤 대통령 취임 한 달…대통령실이 꼽은 ‘새로운 10가지 변화’

용산시대·약식회견·집무실 개방·역대 가장 빠른 한미정상회담 등 선정

대통령실이 10일로 취임 한 달을 맞는 윤석열 대통령이 만들어낸 ‘새로운 10가지 변화’를 소개했다.


대통령실은 9일 보도자료에서 ▲용산시대 개막 ▲출근하는 대통령의 상시적 도어스테핑(약식 회견) ▲점심시간과 주말을 이용한 소통 행보 ▲시민에게 개방한 집무실 ▲시민 광장으로 바뀐 청사 앞마당 ▲가까워진 대통령과 비서진 ▲파격적 통합 행보 ▲취임 20일 만에 1호 공약(손실보상 추경) 실행 ▲기자실부터 방문 ▲역대 가장 빠른 한미정상회담 등을 새로운 변화로 선정했다.



대통령실은 먼저 “정부 수립 74년 만에 청와대를 국민 품으로 돌려드리고, 취임과 함께 용산 대통령실에서 집무를 개시했다”며 “현실적 제약과 ‘안보 공백’ 등 여러 우려를 뚫고 제왕적 대통령제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 새로운 대통령 시대를 개척했다”고 밝혔다.


5월 10일 청와대 개방 이후 6월 8일까지 누적 관람객수는 75만 8394명이다.


출근하는 대통령의 적극적인 소통행보도 새로운 변화로 꼽은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 물음에 응답하고 있다”며 “그동안 도어스테핑을 총 12차례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는 역대 대통령과 비교 불가능한 소통 방식과 횟수를 통해 ‘참모 뒤에 숨지 않겠다’는 약속을 실천한 것이라고 대통령실은 평가했다.


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는 윤 대통령의 ‘시민 곁으로 행보’도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평일 점심시간이나 주말을 이용해 시민들과 수시로 어울리는 깜짝 소통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취임 당일 삼각지 경로당 및 놀이터 방문, 주말 백화점에서 신발 구매, 주말 전통시장 방문, 집무실 인근 국수집과 빵가게 방문, 주말 한강변 애완견과 산책, 종로 피자집에서 점심식사 후 청계천 산책 등이 있었다.


대통령실은 “청와대라는 밀폐된 공간을 나와 시민과 같은 공간 속에서 생활하는 최초의 대통령”이라며 “용산시대 대통령 부부의 일상을 시민들이 직접 목격하는 새로운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시민에게 개방한 대통령 집무실도 새로운 장면으로 꼽았다.


대통령실은 국회의장단 접견, 국민희망대표 20인 초청 오찬, 천안함 폭침 생존 장병 및 연평해전·북한 목함지뢰 도발 희생자 가족 집무실 초청 등을 사례로 들며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이전한 데 그치지 않고 집무실을 시민들에게 수시로 개방해 시민을 직접 만나는 공간으로 활용했다”고 말했다.


또 “청사 앞 잔디광장에서 500여 명이 넘는 인사가 참석한 중소기업인 대회를 개최했으며, 윤 대통령은 테이블을 다니며 인사를 나누고 사진 촬영을 했다”며 “조만간 용산 주민들을 청사 앞 잔디광장으로 초청하는 행사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가까워진 대통령과 비서진의 수시 소통도 눈에 띄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진의 사무실이 한 건물에 모여 있어 수시로 소통하며 업무 효율을 극대화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요청으로 여당 의원 전원 5·18기념식 참석, 시정연설 후 여야 국회의원 전원과 악수 등 파격적인 통합 행보와 취임 20일 만에 1호 공약인 62조원 규모의 ‘코로나19 손실보상’ 추가경정예산 실행도 대표적 성과로 꼽았다.


아울러 통상 취임 두 달 뒤 성사되던 한미 정상회담을 역대 가장 빠른 취임 11일 만에 개최해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국민과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고 덧붙였다.





전국

더보기
대구시,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 본격 가동' 【국제일보】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5월 12일(월)부터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을 운영한다. 디지털배움터는 상설배움터 2개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체험존, 수요기관 파견교육, 에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설배움터와 체험존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제공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평일 상시 운영되며, 방문객에게 디지털 교육과 문제상담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기관 파견교육은 경로당, 복지관, 마을회관 등 170여 곳의 주민 생활시설과 연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용 기자재를 탑재한 이동형 교육차량(에듀버스)을 운행해 도심 외곽 취약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스마트폰 기초, 키오스크, 온라인 쇼핑, 대중교통 앱 활용 등 기본과정부터 생성형 AI, 금융 보안사고 예방 등 심화 과정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대구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연간 약 16,000여 명의 시민이 디지털 교육 혜택을 받을 것으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