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기

양주 대모산성 출토 '태봉국 목간' 판독…한반도 발견 목간 중 문자 수 최다

 

양주시(시장 강수현)와 재단법인 기호문화재연구원(원장 고재용)은 양주 대모산성(사적 제526호) 13차 학술발굴조사에서 출토된 '태봉국 목간'의 판독회의를 지난 20일∼21일까지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목간 한 면에 적혀 있는 '정개 3년 병자 4월 9일'(政開三年丙子四月九日)의 문구에 대한 판독을 확정했다.

 

목간에서 언급된 '정개'(914∼918)는 태봉국 궁예(?∼918년)의 마지막 연호이며, 정개 3년은 916년을 의미한다.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국과 관련된 이번 목간의 출토는 국내에서는 최초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판독회의에서는 916년은 병자년으로 목간의 기록과도 일치해 "연호와 간지가 결합된 절대 연대를 보여주는 유일한 목간"으로 그 중요성을 높게 평가했다.

 

한편, 이번 판독회의에서는 대모산성 출토 '태봉국 목간'에 대해 총 8면으로 구성됐고, 그림이 있는 한 면과 공란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8행의 글씨가 묵서돼 있다.

 

총 글자 수는 123자로 구성돼 한반도에서 발견된 목간 가운데 최다면(最多面), 최다행(最多行), 최다 문자 수인 것에도 주목했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단편적으로밖에 확인할 수 없는 '태봉국'의 모습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이번 출토 유물의 가치는 '새로운 삼국사기의 발견'에 비견될 정도로 한국 고대사 연구에도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판독회의에서는 총 123자의 글자 가운데 102글자가 판독됐다. 판독 결과 양주대모산성 내 큰 연못(大井)에서 대룡(大龍)에게 제사를 지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이러한 내용 가운데 새로운 태봉 사람의 존재가 확인됐다.

 

바로 목간 4면에 '신해세입육무등'(辛亥歲卄六茂登) 의 글귀에서 신해년 태생의 26세 '무등(茂登)'이라는 사람이 등장하는데, 신해년은 891년으로 정개 3년(916년) 시점에 26세로 계산돼 목간의 제작 시점과 일치하며,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태봉 사람의 인명이다.

 

한편, 이번 목간은 양주대모산성 13차 발굴조사에서 새로이 확인된 집수시설에서 출토됐다. 이번 태봉국 목간의 출토는 양주대모산성이 삼국시대∼후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교통로 상의 중요 위치에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며, 후삼국시대에도 양주대모산성 일대에 정치세력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양주대모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잠재성을 높이 평가해 지난 2018년부터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고, 그 결과 이번 발굴조사에서 '태봉국 목간'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강수현 양주시장은 '역사문화도시'의 위상 확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양주대모산성의 발굴조사에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강수현 양주시장은 "발굴 현장 공개회를 오는 12월 6일 개최해, 이번 발굴조사 결과와 태봉국 목간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며, 판독회의에서 밝히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그동안 역사학계에서 미지의 세계로 보여진 태봉국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밝혀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국

더보기
인천시, '가정의 달 5월' 클래식으로 가족의 마음을 잇다. 【국제일보】 인천시립교향악단이 가정의 달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획연주회 '2025 가족음악회'를 선보인다. 오는 5월 31일(토) 오후 3시, 부평아트센터 해누리극장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클래식을 처음 접하는 어린이부터 애호가까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인천시립교향악단 정한결 부지휘자의 지휘 아래, 총 3곡을 연주한다. 동화 구연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이야기꾼 이지윤이 해설자로 등장해 다양하고 친절한 설명으로 어린이 관객도 쉽게 작품을 이해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예정이다.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크라펜 숲에서 프랑스풍 폴카, Op. 336'가 첫 문을 연다. 자연의 생동감을 경쾌한 리듬으로 표현한 곡으로 실제로 새소리를 묘사한 휘파람 소리와 트릴 등이 곡 전반에 등장해 청중은 마치 오스트리아의 숲속을 산책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곡은 재치 있고 유머러스한 음악을 만드는 프랑스 작곡가 프란시스 풀랑크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d단조, FP 61'이다. 동양 음악과 재즈, 모차르트의 고전적 우아함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이 녹아

피플

더보기